대한민국 사람이라면 휴대폰에 10명 중 9명은 깔려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 바로 카카오톡인데요. 2010년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톡은 스마트폰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비용이 들지 않고도 사람들과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합니다. 조금씩 성장하던 카카오톡은 스마트폰의 대중화에 따라 폭풍성장하게 되었는데요. 이에 카카오톡뿐만 아니라 카카오페이, 카카오택시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코로나 시기에도 시대에 맞는 서비스를 만들어나가 더욱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죠. 회사에서도 개인적으로도 사용하는 카카오톡은 이제 우리 생활에서 없으면 불편한 존재가 되었습니다. 대체 어플이야 있지만 그만큼 익숙하지 않고 기능 측면에서도 떨어지기 때문이죠.
물론 무엇이든지 완벽할 수는 없지만 몇 년 전부터 오류가 생기던 카카오톡은 작년 5월 경 서버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이후 22년 10월 4일 또다시 서버에 문제가 생겼고 며칠 뒤인 10월 15일 카카오톡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카카오톡 데이터센터는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에 위치한 SK주식회사 C&C인데요. 판교캠퍼스 A동 지하 3층에 있는 전기실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서버 작동에 필요한 전원 공급이 끊기게 되어 카카오 서비스를 비롯한 모든 서비스들이 다운되어 버린 사건입니다. 이에 카카오 측은 사과문을 발표하고 최대한 빠른 복구에 힘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이후 10월 16일 전력 공급이 90% 이상 완료되었다고 말했으며 10월 21일 카카오의 모든 서비스가 복구되었다고 밝혔습니다. 화재라는 큰 사건 이후 다행히 지금까지는 추가적인 오류 문제가 없었지만 또 언제 일어나지 모를 일이긴 합니다.
아무튼 카카오톡은 이러한 사건을 계기로 카카오톡의 다짐을 담은 보고서와 무료서비스 보상안이라는 답례를 내놓았는데요. 보고서에는 2022년 10월 15일 카카오톡 데이터센터 화재 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복구 시 문제점, 앞으로의 대책 및 다짐을 담은 내용이 들어있었습니다. 생각보다 긴 내용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정리해서 보기 쉽더라고요. 마음 패키지라고 무료 서비스에는 기본으로 제공되는 무료 이모티콘 3종과 카카오메이커스 5,000원 쿠폰팩, 톡서랍 플러스 1개월 이용권이 있었습니다. 이모티콘 3가지 중 춘식이 이모티콘은 평생 소장이 가능하지만 토심이 와 토뭉이, 망그러진 곰 이모티콘은 아쉽게도 90일까지만 소장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제가 받자마자 바로 써봤는데 생각보다 굉장히 귀여워서 구매 욕구가 생기더라고요. 특히 망그러진 곰이 아기 같이 생겨서 너무 귀여웠습니다. 카카오톡 관계자가 그렸는지는 몰라도 90일을 설정한 건 추후 구매를 불러일으키려고 했던 아이디어가 아니었을까 싶기도 하네요.
다음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카카오메이커스 2,000원 · 3,000원 권인데요. 사실 저는 이 이벤트를 하기 전까지 카카오메이커스란 게 있는지도 몰랐습니다. 알아보니 카카오 메이커스는 크라우드 펀딩을 기반으로 하는 선주문 및 공동 주문의 쇼핑몰이라고 합니다. 둘러봤는데 가격도 비싼 편이고 딱히 메리트는 없어 보였어요. 그래도 이용하시는 분들을 위해 알려드리자면 고객이 주문할 때마다 환경 기금을 모으고 재활용을 하는 등 환경적인 사이트인 것 같아요. 쿠폰의 유효기간은 지급일로부터 30일까지이며 배송비를 제외한 주문 금액 3,500원부터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선택 가능한 톡서랍 플러스 1개월 이용권은 선착순 300만 명에게만 드리는데 톡서랍 플러스는 카톡의 대화, 사진, 파일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이는 1개월 이용권이기 때문에 다음 달에는 자동 결제가 될 수 있으니 해지 예약 기능을 사용하시면 자동 결제를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모든 무료 서비스는 2023년 1월 5일부터 1월 20일까지만 가능하니 참고 바랍니다.
'soci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보* 인천 강화군 서쪽 4.0 지진 발생 (2) | 2023.01.09 |
---|---|
구글 계정 해킹 / 휴대폰 소액결제 환불 후기 (0) | 2023.01.08 |
속보 4호선 열차 사고 운행 정지 (0) | 2022.12.12 |
2023년 십이간지 띠 / 삼재띠 / 휴일 / 성인 나이 (0) | 2022.12.12 |
2023년 최저시급/ 최저임금 알아보기 (0) | 2022.12.08 |
댓글